정크 (선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크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중국식 돛을 사용한 전통적인 범선을 의미한다. 뗏목에서 진화한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용골이 없고, 여러 개의 수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얕은 수심에서도 항해에 용이하다. 12세기 이전에 사각형 돛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배튼이 있는 돛을 채택하여 바람을 거슬러 올라가는 성능을 향상시켰다. 송나라 시대부터 대형 정크선이 등장하여 해상 무역에 활용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정화의 원정에도 사용되었다. 청나라 시대까지 아시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도 정크선을 이용한 항해가 이루어졌다. 한국은 류큐 왕국과의 교류를 통해 정크선 기술을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크 (선박) |
---|
2. 명칭
'정크(Junk)'라는 단어는 포르투갈어 junco|중쿠pt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말레이어 jong|종ms에서 파생되었다. jong|종ms은 원래 자바의 대형 무역선을 지칭했으나, 이후 중국 선박인 'chuán'까지 포함하게 되었다.[3][4][5][6][7] 중국어에서는 "대민선(大民船, 따민촨)" 또는 "범선(帆船, 판촨)"이라고 한다. 일본어에서는 "戎克"으로 표기하기도 한다.[57]
정크는 용골이 없는 평평한 바닥 구조를 가지며, 선체는 여러 개의 수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다.[58] 이러한 구조 덕분에 얕은 흘수선으로 얕은 바다에서 항해하기 편리하고, 내파성이 뛰어나며, 속도도 동시대의 캐러크선, 캐러벨선, 갤리온에 비해 월등히 뛰어났다.
3. 구조
돛대를 크레인으로 사용한 서양 돛단배와 달리, 정크는 돛대 크레인 기능이 없어 선창 깊이에 제한이 있었고, 이에 따라 대형화되면서 옆으로 납작해지는 형태로 발달했다.
3. 1. 돛
정크선의 돛은 가로 방향으로 여러 개의 쪼개진 대나무(배튼, batten)를 삽입하여 바람을 거슬러 올라가는 성능이 뛰어나다. 돛 전체를 돛대 꼭대기에서 매달아 사용하기 때문에 횡풍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돌풍 시 빠르게 돛을 내릴 수 있다.[58]
12세기 이전의 중국 선박은 사각형 돛을 사용했으나,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받아 배튼이 있는 러그 세일(lug sail)을 채택했다. 중국은 12세기경에 이를 채택했을 수도 있다.[8][9][10]
3. 2. 선체
정크의 선체는 연목으로 만들어졌으며, 17세기 이후 광둥에서는 티크가 사용되었다. 선체는 여러 개의 내부 구획/격벽으로 구성되어 있어, 대나무의 내부 구조를 연상시킨다. 전통적으로 정크는 높은 선미 갑판을 지지하는 말굽 모양의 선미를 가지고 있다.[13] 강에서 운항하는 정크는 용골이 없어 단도보드,[14] 리보드 또는 매우 큰 방향타에 의존하여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15]
내부 격벽은 정크선의 특징으로, 구획을 제공하고 선박을 강화하며 침수를 제어한다.[16] 이러한 방식의 선박 건조는 송나라 시대인 1119년에 출판된 주유의 ''평주가담''에 언급되어 있다.[16] 모로코의 무슬림 베르베르인 여행가 이븐 바투타 (1304–1377)도 중국 선체의 격벽 구조에 대해 자세히 묘사했다.[17]
벤자민 프랭클린은 1787년 서한에서 정크의 격벽 구조를 언급하며, 각 구획을 밀봉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썼다.[18]
정크는 용골이 없고, 선체가 수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얕은 흘수선 덕분에 얕은 바다에서 항해하기 편리하고 내파성이 뛰어나며, 속도도 동시대의 캐러크선, 캐러벨선, 갤리온에 비해 월등히 뛰어났다.
3. 3. 조향
정크선은 서양보다 수세기 আগে 선미에 장착된 타를 사용했다. 이는 서양 선체의 뾰족한 선미가 중심선 조향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었던 반면, 정크선의 타는 중앙 장착 선미 조향 노의 발달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대형 선박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이었으며, 설계상 수심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고, 정크선이 좌초될 경우 심각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대형 정크선은 악천후에서 20명에 달하는 선원이 조종해야 하는 타를 가질 수 있었다. 일부 정크선에는 리보드 또는 대거보드가 장착되었다.[21][22]
4. 역사
정크선은 한나라 시대부터 19세기 청나라 시대까지 동아시아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한나라 시대(기원전 206년~220년)부터 정크선은 강에서 주로 운행되었으며, 3세기 초에는 돛을 4개까지 가진 대형 오스트로네시아족 무역선이 중국 항구에 정박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배들은 '쿤룬 포'라고 불렸으며, 중국 불교 순례자들이 남인도와 스리랑카로 가는 데 사용되었다.[24][25][26]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7세기~9세기)에는 중국 사신들이 외국 배를 이용하여 스리위자야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파견되었다.[23] 9세기에는 '쿤룬 보' 무역이 증가하여 중국 남부 무역항에 정기적으로 도착했다.[23]
송나라 시대(10세기~13세기)에 오월국은 일본 및 한국과 해상 무역 관계를 맺었다.[28] 989년, 송나라 조정은 개인 선박의 해외 무역을 허가했으며,[42][23] 11세기에는 중국 선박이 동남아시아, 일본, 한국과의 무역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나타난다.[23] 1178년, 광저우 세관 관리인 주거비는 ''영외대답''에서 남중국 해상 선박의 크기와 성능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29] 1274년, 항저우의 한 거주자는 대형 송 정크선이 60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30] 남해 1호와 취안저우 선박은 당시 대형 정크선의 규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31][32]
원나라 시대(14세기)에는 해상 운송 제한이 해제되면서 중국 무역선이 동남아시아 선박을 대체하게 되었다.[23] 원나라는 송나라의 전통을 이어받아 대형 무역 정크를 사용했다.[34] 이븐 바투타는 중국 선박의 종류와 크기, 구조 등에 대해 상세히 묘사했다.[33]
명나라 시대(15세기~17세기)에는 정화의 인도양 원정에 대규모 정크선(보물선)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크기는 논란이 있다.[41] 현대 학자들은 정화의 배 크기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다양한 추정치를 제시하고 있다.[43][44][45] 1661년, 정성공은 400척의 정크선과 2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타이완에 도착하여 네덜란드를 몰아냈다.
청나라 시대(17세기~19세기)에도 대형 원양 정크선은 아시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키잉'''은 1846년에서 1848년 사이에 중국에서 희망봉을 돌아 미국과 영국으로 항해한 정크선이다. 많은 정크선은 해군 또는 해적 용도로 무장했으며, 서방 해군과 여러 해전을 벌이기도 했다.[49]
송대 이후 정크선은 크게 발달하여 다양한 용도로 건조되었다. 10~18세기에 사용된 대형 정크선은 600~2000톤에 달했으며, 짐을 싣고 내리는 기중기나 시바후네(柴舟)라고 불리는 얕은 물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가 탑재되었다. 승무원 수는 100~200명이었다. 대형 선박 건조와 상품 구매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기에 파트너십 선주제가 채택되었고, 선원이 배의 주식을 소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선장은 공동 출자자를 대표하여 항해와 거래를 모두 처리했으며, 11~14세기경에는 "강수(綱首)", 17~18세기에는 "출해(出海)"라고 불렸다. 선원의 직능은 재부(회계), 총관(사무장), 향공(선신 봉사), 화장(항해사), 타공(타기장), 대료(돛삭 기장), 아반(망루), 두정(닻 기장), 압공(목수), 포수, 수수(사공)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4. 1. 한나라 ~ 남북조 시대 (2세기-6세기)
이 시기의 중국 선박은 본질적으로 강에서 운행되는 선박이었다.[10] 9세기까지 중국 선박은 동남아시아 및 그 너머로의 해상 항해에 사용되지 않았다.[23]3세기 초부터 학자들은 돛을 4개까지 가진 대형 오스트로네시아 무역선이 중국 항구에 정박하는 것을 기록했다. 그들은 이 배들을 '쿤룬 포(崑崙舶|쿤룬 사람들의 배중국어)'라고 불렀다. 이 배들은 강한 바람과 거친 파도에도 항해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중국 선박이 그러한 능력을 갖추지 못했음을 의미한다.[23] 이 선박들은 중국 불교 순례자들이 남인도와 스리랑카로 가기 위해 예약했다.[24][25][26] 3세기에는 중국 사신들도 동남아시아("난하이")로 파견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명시적으로 외국 선박을 이용하여 이동했다.[23]
4. 2. 수나라 ~ 당나라 시대 (7세기-9세기)
683년, 당나라 조정은 스리위자야에 사절을 파견했지만, 배나 임무에 대한 언급은 없어 이전처럼 사절이 외국 배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23] 왕(1958)은 당나라 기록에 중국 정크가 동남아시아와의 무역에 사용되었다는 내용은 없다고 언급했다.[27] 9세기에는 '쿤룬 보' 무역이 증가했으며, 중국 기록에는 이 배들이 중국 남부의 무역항에 정기적으로 도착했다고 묘사되어 있다.[23]4. 3. 송나라 시대 (10세기-13세기)
오월국은 935년경부터 978년 송나라에 흡수될 때까지 일본 및 한국과 외교 및 해상 무역 관계를 맺었다. 이 관계는 주로 불교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28]989년, 송 조정은 실크로드를 통한 북쪽 무역로를 이용할 수 없게 되자, 개인 중국 선박의 해외 무역을 허가했다.[42][23] 1090년에는 선박이 어느 항구에서든 자유롭게 등록하고 출발할 수 있도록 규정이 수정되었다. 11세기에는 해외 무역을 위해 중국 선박이 출항한 최초의 기록이 나타나는데, 주로 동남아시아로 향했지만, 일본 및 한국과의 무역 기록도 포함되었다. 11세기 후반에는 선박이 9개월 이내에 돌아와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되어 항해 범위가 제한되었다.[23]
니덤의 저서 ''중국의 과학과 문명''에는 송나라 시대의 대형 정크선에 대한 설명이 있다. 1178년, 광저우 세관 관리인 주거비는 ''영외대답''에서 남중국 해상 선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 "남해와 그 남쪽을 항해하는 선박은 거대한 집과 같다. 돛을 펼치면 하늘의 거대한 구름과 같다. 키는 수십 척이나 된다. 한 척의 배는 수백 명을 태우고, 창고에는 1년 치의 곡물이 있다. 돼지를 기르고 술을 발효시킨다. ... 선장은 '... 순풍으로, 며칠 안에 가려면, 이런 산을 보아야 하고, (그 다음) 배는 이런 방향으로 가야 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 ... 무거운 화물을 실은 큰 배는 대해를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얕은 물에서 재난을 겪을 것이다."[29]
1274년, 항저우의 한 거주자에 따르면, 대형 송 정크선은 5,000 료 (약 71.1m)였으며, 60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 중간 크기의 배는 1,000~2,000 료였으며, 30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 더 작은 배는 "바람을 뚫는" 배로 알려졌으며, 백 명까지 수용했다.[30] 그러나 초기 중국 자료는 실제 길이보다 치수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23] 당시 대형 정크선의 난파선인 남해 1호는 30.4m, 취안저우 선박은 34.6m의 길이로 측정되었다.[31][32]
송대 이후 강과 연안을 항해하는 소형 선박에서부터 450~1300총 톤 정도의 대형 외양 항해용 선박까지 다양한 용도의 선박이 건조되었다. 10~18세기에 사용된 대형 정크선은 600~2000톤으로, 교역용으로 짐을 싣고 내리는 기중기나 시바후네(柴舟)라고 불리는 얕은 물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 등이 탑재되었다. 승무원 수는 100~200명이었다.
선박의 사용 기간 동안의 수리비도 미리 예상하여 대형 선박을 건조하고, 상품을 미리 구매하는 것은 한 사람의 재력으로는 어려웠기에 파트너십 선주제가 채택되었고, 선원이 배의 주식을 소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선장은 공동 출자자를 대표하여 항해와 거래의 모든 것을 처리했다. 11~14세기경에는 "강수(綱首)"라고 불렸다. 강수는 출항 시에 장비 준비, 기장(記帳), 융자 차입, 선원 고용, 선창 공간 분배를 관리했으며, 기항 시에는 선적 화물의 판매와 수집, 제세금 납부, 필요한 계약을 담당했다.
선원은 직능에 따라 재부(회계 담당), 총관(사무장), 향공(선신 봉사역), 화장(항해사), 타공(타기장), 대료(돛삭 기장), 아반(망루), 두정(닻 기장), 압공(목수), 포수, 수수(사공) 등으로 불렸다.
4. 4. 원나라 시대 (14세기)
원나라는 1279년경 해상 운송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여 중국 무역선이 전통적인 인도양 항로에서 동남아시아 선박을 대체하게 되었다.[23] 원나라 선박은 송나라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대형 무역 정크를 사용했다.[34] 이븐 바투타는 중국 선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묘사했다.…우리는 당시 중국 선박 13척이 있던 칼리컷 항구에 정박하여 하선했다. 남중국해에서는 중국 선박으로만 항해가 이루어지므로 그들의 배치를 설명하겠다. 중국 선박은 세 종류가 있다; 청크(정크)라고 불리는 대형 선박, 자우(다우)라고 불리는 중간 크기의 선박, 그리고 카캄이라고 불리는 소형 선박이다. 대형 선박에는 12개에서 3개의 돛이 있으며, 이는 매트 모양으로 엮은 대나무 막대로 만들어진다. … 선박은 1,000명의 선원을 수용하며, 그 중 600명은 선원이고 400명은 무장병으로, 궁수, 방패를 가진 자, 나프타를 던지는 석궁병 등이 있다. … 이 선박은 자이툰(취안저우)과 신칼란(광저우) 마을에서 건조된다. …[33]
송나라와 원나라 모두 대형 무역 정크를 사용했으며, 명나라의 보선과는 달리 노로 추진되었고, 기동 보조를 위한 더 작은 정크를 함께 사용했다.[35]
4. 5. 명나라 시대 (15세기-17세기)
정화의 인도양 원정(1405년~1433년)에는 역사상 가장 큰 정크선(보물선)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크기에 대한 동시대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논란이 있다. 이 치수는 약 2세기 후 羅懋登|뤄마오덩중국어이 쓴 항해에 대한 낭만적인 이야기인 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중국어(1597)에 기반을 두고 있다.[41] 마오덩의 소설은 정화의 배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42]종류 | 돛대 수 | 크기 (장 x 장) | 길이 (m) | 너비 (m) |
---|---|---|---|---|
보물선 (寶船|보선중국어) | 9 | 44.4 x 18 | 약 127m | 약 52m |
말 배 (馬船|마선중국어) | 8 | 37 x 15 | 약 103m | 약 42m |
보급선 (糧船|양선중국어) | 7 | 28 x 12 | 약 78m | 약 35m |
수송선 (坐船|좌선중국어) | 6 | 24 x 9.4 | 약 67m | 약 25m |
전함 (戰船|전선중국어) | 5 | 18 x 6.8 | 약 50m |
현대 학자들은 공학적 근거를 들어 정화의 배가 450피트(약 137미터) 길이였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주장하며,[43][44] 꽌징청(1947)은 길이 20장, 너비 2.4장(62.2m x 7.8m),[43] 신위안오우(2002)는 길이 61~76m(200~250피트),[44] 자오지강은 약 70m를 제시했다.[45]
중국측 기록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유럽의 동인도 상선과 갤리온은 길이가 30, 40, 50, 60''장''(90, 120, 150, 180m)이라고 기록되었다.[46] 19세기 중후반이 되어서야 서양의 가장 큰 목조선의 길이가 100미터를 넘었으며, 이조차 현대적인 산업 도구와 철제 부품을 사용한 결과였다.
송대 이후 정크선은 크게 발달하여 강과 연안을 항해하는 소형 선박부터 450~1300총 톤 정도의 대형 외양 항해용 선박까지 다양하게 건조되었다. 10~18세기에 사용된 대형 정크선은 600~2000톤으로, 짐을 싣고 내리는 기중기나 시바후네(柴舟)라고 불리는 얕은 물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 등이 탑재되었고, 승무원 수는 100~200명이었다.
선박 건조 및 상품 구매에는 많은 자금이 필요했기에 파트너십 선주제가 채택되었고, 선원이 배의 주식을 소유하기도 했다. 선장은 공동 출자자를 대표하여 항해와 거래를 모두 처리했으며, 11~14세기경에는 "강수(綱首)", 17~18세기에는 "출해(出海)"라고 불렸다. 선원은 재부(회계), 총관(사무장), 향공(선신 봉사), 화장(항해사), 타공(타기장), 대료(돛삭 기장), 아반(망루), 두정(닻 기장), 압공(목수), 포수, 수수(사공) 등으로 불렸다.
명대 정화의 원정으로 실론, 아라비아 반도, 아프리카 동해안 등에 도달했다. 송대 이후 발달한 정크선을 이용한 해양 교역망은 광저우, 취안저우 등을 중심으로 동중국해, 남중국해, 인도양까지 뻗어나가 중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4. 5. 1. 대만 정복
1661년, 정성공은 400척의 정크선과 2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타이완에 도착하여 네덜란드를 몰아냈다.4. 6. 청나라 시대 (17세기-19세기)
대형 원양 정크선은 19세기까지 아시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정크선 중 하나인 '''키잉'''은 1846년에서 1848년 사이에 중국에서 희망봉을 돌아 미국과 영국으로 항해했다. 많은 정크선은 해군 또는 해적 용도로 카로네이드와 기타 무기를 장착했다. 이러한 선박은 18세기에 이 지역에 더 자주 진입하기 시작한 서방 해군에 의해 일반적으로 "전쟁 정크선" 또는 "무장 정크선"이라고 불렸다. 영국, 미국, 프랑스는 제1차 아편 전쟁, 제2차 아편 전쟁, 사이에 전쟁 정크선과 여러 해전을 벌였다.[49]바다에서 정크선 선원들은 서방 선원들과 협력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1870년 포르모사 해안에서 난파된 영국 바크선 '''험버스톤'''의 생존자들은 정크선에 의해 구조되어 마카오에 안전하게 상륙했다.
송대 이후 정크선은 크게 발달하여 강과 연안을 항해하는 소형 선박에서부터 450~1300총 톤 정도의 내파성이 뛰어난 대형 외양 항해용 선박까지 다양한 용도로 건조되었다. 10~18세기에 사용된 대형 정크선은 600~2000톤으로, 교역용으로 짐을 싣고 내리는 기중기나 시바후네(柴舟)라고 불리는 얕은 물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 등이 탑재되었다. 승무원 수는 100~200명이었다.
이처럼 대형 선박을 건조하고, 상품을 미리 구매하는 것은 한 사람의 재력으로는 어려웠기 때문에 배의 사용 기간 동안의 수리비도 미리 예상하여 파트너십 선주제가 채택되었고, 선원이 배의 주식을 소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선장은 공동 출자자를 대표하여 항해와 거래의 모든 것을 처리했다. 선장은 11~14세기경에는 "강수(綱首)", 17~18세기에는 "출해(出海)"라고 불렸다. 출해는 출항 시에 장비 준비와 기장(記帳), 융자 차입, 선원 고용, 선창 공간 분배를 관리했으며, 기항 시에는 선적 화물의 판매와 수집, 제세금 납부, 필요한 계약을 담당했다.
선원의 직능은 재부(회계 담당), 총관(사무장), 향공(선신 봉사역), 화장(항해사), 타공(타기장), 대료(돛삭 기장), 아반(망루), 두정(닻 기장), 압공(목수), 포수, 수수(사공) 등으로 불렸다.
5. 현대 (20세기 이후)
1938년, E. 앨런 피터슨은 36피트(약 11m) 정크선 'Hummel Hummel'호를 타고 상하이에서 캘리포니아까지 항해했다. 그는 아내 타니와 두 명의 백계 러시아인(차르 지지자)과 함께 진격하는 일본군을 피해 탈출했다.[50]
1955년, 여섯 명의 젊은이들이 명나라 스타일의 정크선을 타고 타이완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항해했다. 'Free China'호를 타고 4개월간의 여정을 담은 영화가 제작되었고,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소식은 국제적인 주요 뉴스로 보도되었다. 중국에서 태어난 다섯 명의 친구는 국제 대서양 횡단 요트 경주 광고를 보고 모험의 기회를 잡았다. 그들은 당시 중국 주재 미국 부영사와 합류하여 여정을 영화로 담았다. 태풍과 사고를 견디면서, 100년 된 정크선을 처음 타본 선원들은 항해를 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선원에는 레노 첸, 폴 차우, 루치 후, 베니 쉬, 캘빈 메흘러트가 포함되었으며, 선장 마르코 청이 지휘했다. 약 약 9656.04km의 항해 끝에 'Free China'와 선원들은 1955년 8월 8일 안개 속에서 샌프란시스코 만에 도착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영상은 ABC 텔레비전의 여행 프로그램 'Bold Journey'에 소개되었다. 존 스테픈슨이 진행하고, 배의 항해사 폴 차우가 내레이션을 맡은 이 프로그램은 정크선이 태평양을 횡단하는 모험과 어려움, 그리고 배 안에서의 유쾌한 순간들을 조명했다.[51]
1959년, 호세 마리아 테이가 이끄는 카탈루냐인들은 홍콩에서 바르셀로나까지 'Rubia'라는 정크선을 타고 항해했다. 성공적인 항해 이후 이 정크선은 람블라가 바다와 만나는 지점 근처, 바르셀로나 항구의 한쪽 끝에 관광 명소로 닻을 내렸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콜럼버스의 캐러벨선 '산타 마리아'의 복제품이 함께 영구적으로 정박되어 있었다.[52]
1981년, 크리스토프 스보보다는 말레이시아 동해안 테렝가누 강 하구의 두용 섬에 있는 체 알리 빈 응아의 조선소에서 길이 약 19.81m의 'Bedar'를 건조했다. Bedar는 전통적으로 그곳에서 건조된 두 종류의 말레이 정크 스쿠너 중 하나이다. 그는 이 정크선을 가족, 친구 한 명과 함께 지중해로 항해했고, 이후 승무원을 교체하며 1998년에 마침내 세계 일주를 마쳤다. 그는 2000년에 이 배를 매각했고, 2004년에는 같은 장인들과 함께 두용에서 새로운 정크선인 나가 펠랑이(Pinas 또는 Pinis)를 건조하여 이 고대 조선 전통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배는 2010년에 장비를 갖추는 작업을 마쳤으며 안다만 해와 남중국해에서 임대선으로 운항하고 있다.[53]
6. 한국과의 관계
류큐 왕국은 책봉선, 진공선이라 불리는 중국으로의 사자를 운반하기 위한 정크를 운용했다. 14세기에 중국으로부터 양도된 이후, 조선 기술을 축적하여 자체적으로 수리하거나 해선과 같은 정크를 건조할 수 있게 되었다.[59] 일본에서도 '당선'이라는 이름으로 정크선이 건조되어 주인선 무역에 활용되었으며, 미쿠니마루나 오키노리선 등에도 정크의 구조가 사용되었다.[59] 이러한 사실들은 정크선이 한국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한국 선박 건조 기술은 정크선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해상 무역과 교류를 통해 정크선 관련 지식과 경험이 한국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Asian Shipbuilding Technology
https://archive.org/[...]
UNESCO Bangkok Asia and Pacific Regional Bureau for Education
2023-02-15
[2]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Houghton Mifflin
[3]
서적
Malay Words and Malay Things: Lexical Souvenirs from an Exotic Archipelago in German Publications Before 1700
Otto Harrassowitz Verlag
[4]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Early Modern Era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5]
간행물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1980-09
[6]
웹사이트
junk (n.2)
https://www.etymonli[...]
2024-05-19
[7]
서적
The Malayan Words in English
American Oriental Society
1897
[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Early Global Interconnectivity across the Indian Ocean World, Volume II: Exchange of Ideas, Religions, and Technologies
Palgrave Macmillan
[10]
서적
Training Manual for the UNESCO Foundation Course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www.academia[...]
UNESCO Bangkok, Asia and Pacific Regional Bureau for Education
2012
[11]
서적
Shaped by Wind & Wave: Musings of a Boat Designer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13-09-23
[12]
Citation
The history of the sailing ship
https://books.google[...]
Arco Publishing Co.
[13]
서적
The sea-craft of pre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14]
웹사이트
The Chinese Sail
http://www.friend.ly[...]
2009-08-13
[15]
웹사이트
Mainland China: Revival of the Junk
http://www.thomashop[...]
2009-08-13
[16]
문서
See also plates CDIII, CDIV, CDV, CDVI in Needham, Volume 4, Part 3.
[17]
문서
Needham, Volume 4, Part 3, 469.
[18]
서적
The writings of Benjamin Franklin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2012-10-05
[1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aritime Archaeology, p.185
[20]
서적
Stephen Davies, On courses and course keeping in Ming Dynasty seafaring: probabilities and improbabilities, "Mapping Ming China's Maritime World", Hong Kong: Hong Kong Maritime Museum, 2015
[21]
서적
Lawrence W. Mott, "The Development of the Rudder: A Technological Tale", College Station: Texas A&M University Press, 1997
[22]
문서
Pirates: Predators of the Seas
[23]
간행물
Early Voyaging in the South China Sea: Implications on Territorial Claims
2015-08
[24]
간행물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1980-09
[25]
간행물
Kunlun and Kunlun Slaves as Buddhists in the Eyes of the Tang Chinese
http://web.usm.my/ka[...]
2015
[26]
서적
The Phantom Voyagers: Evidence of Indonesian Settlement in Africa in Ancient Times
Thurlton
[27]
간행물
The Nanhai Trade: the early History of the Chinese Trade in the South China Sea
1958
[28]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9]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30]
문서
Wake, 2004: 75.
[31]
간행물
The Great Ocean-Going Ships of Southern China in the Age of Chinese Maritime Voyaging to India, Twelfth to Fifteenth Centuries
1997-12
[32]
뉴스
Ancient ship raised from S China Sea
http://news.bbc.co.u[...]
2024-05-20
[33]
서적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India–China Relations, 600–1400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9-11
[34]
문서
Lo, 2012: 246
[35]
문서
Wake, 1997: 57, 67.
[36]
문서
Wake
1997
[37]
서적
The Junks and Sampans of the Yangtze, A Study in Chinese Nautical Research, Volume I: Introduction; and Craft of the Estuary and Shanghai Area
Order of the Inspector General of Customs
[38]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1800
https://books.google[...]
NUS Press
[39]
간행물
Of Palm Wine, Women and War: The Mongolian Naval Expedition to Java in the 13th Centur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0]
서적
Kublai Khan: The Mongol King Who Remade China
Random House
[41]
서적
海疆开发史话 (History of Coast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42]
문서
When China Ruled the Seas: The Treasure Fleet of the Dragon Throne, 1405-1433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3]
문서
Zheng He xia Xiyang de chuan
1947
[44]
서적
Guanyu Zheng He baochuan chidu de jishu fenxi
[45]
뉴스
郑和大号宝船到底有多大? (How big was Zheng He's large treasure ship?)
http://epaper.tyrbw.[...]
2022-07-12
[46]
웹사이트
为什么郑和时期宝船体积庞大,后期明朝军舰再无如此规模的战船?(Why did the treasure ship of Zheng He's period be huge, and there was no warship of this size in the later Ming Dynasty?)
https://www.zhihu.co[...]
2017
[47]
서적
A description of the coasts of East Africa and Malabar, in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archive.org/d[...]
London :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1866
[48]
간행물
Ships, Shipwrecks, and Archaeological Recoveries as Sources of Southeast Asian History
https://www.academia[...]
2019
[49]
문서
Maritime Maryport
Dalesman
1978
[50]
뉴스
E. Allen Petersen Dies at 84; Fled Japanese on Boat in '38
https://www.nytimes.[...]
1987-06-14
[51]
문서
Charles W. Cushman Photograph Collection>> Results >> Details
http://webapp1.dlib.[...]
[52]
문서
Hong Kong to Barcelona in the Junk "Rubia"
George G. Harrap & Co. Ltd
1962
[53]
문서
50 Years Malaysian-German Relations
Embassy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54]
웹사이트
香港最後の伝統的木造帆船、コロナ規制で存続の危機
https://www.afpbb.co[...]
2020-12-21
[55]
서적
《大航海時代的台灣》
貓頭鷹
[56]
문서
海のシルク・ロード事典
新潮選書
1988
[57]
Cite
海が創る文明:インド洋海域世界の歴史
朝日新聞社
1993
[58]
문서
山形欣哉は著書において、梁には漏水を導くためのアカ穴が開けられており「防水隔壁とはなり得るが、決して水密隔壁ではない」としている
[59]
문서
ただし、唐船は和船、西洋船の技術を取り入れた折衷式であり、純粋なジャンクではない
[60]
문서
中国の科学と文明
河出書房新社
2008
[61]
문서
Song Industries
Houghton Mifflin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